[기초거시경제론]GDP의 정의, GDP의 여러 측면, GDP 개념의 한계에 관하여 설명 - GDP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거시경제론]GDP의 정의, GDP의 여러 측면, GDP 개념의 한계에 관하여 설명 - GD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총산출
 Ⅰ-1 GDP
 Ⅰ-2 명목 GDP와 실질 GDP
 Ⅰ-3 절대수준과 성장률

Ⅱ. GDP의 여러 측면
 Ⅱ-1 실업율
 Ⅱ-2 인플레이션율

Ⅲ. GDP의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들은 소비재, 즉 자신들이 소비하는 재화의 평균가격에 관심이 있다. 이 두 가지 가격들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한 국가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종류와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재화의 종류는 두 가지 이유 때문에 동일하지 않다.
Ⅲ. GDP의 한계
지금까지 여러 가지 총생산, 총소득개념과 이것들이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국내 총생산과 국민총소득으로 대표되는 총생산 총소득은 한 나라 경제 활동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GDP는 전체적인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총생산을 측정할 때 모든 생산, 분배, 지출과정을 직접 확인하기가 어렵기에 ㄴ무다 방대한 인원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 표본통계로부터 전체를 추정하는 추계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런데 이 추계방법에 전체적인 일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 총생산 총소득지표는 소비자들이 즐기는 여가를 충분히 감안하지 않고 있다. 예컨대 열렬한 테니스 팬이 그의 여가 시간을 테니스로 흠뻑 즐긴다면 그의 만족도 내지 후생수준은 그가 치른 테니스 코트 사용료보다 훨씬 높을 것이다. 그러나 총소득에는 그가 치른 코트 사용료만이 계산된다. 셋째, 총생산은 대기 및 수질오염 소음 등 공해는 도외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질의 풍요 못지않게 생활의 질을 중시하는 오늘 날 외부비경제효과를 감안하지 않는 국민소득은 만조할 만한 복지지표라 할 수 없다.
*참고문헌
안국신, 거시 경제학, 2008
김상중, 거시 경제학과 GDP, 1989
김영식, 거시경제론, 2001
올리버 브랜차드, 거시 경제, 2007
김상중, GDP분석, 1991
  • 가격3,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9.30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9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