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우수자료★★][서양미술] 서양미술사에 나타난 아폴론(Apollo)의 모습 -아폴론의 모습, 아폴론의 사랑, 예술의 신 아폴론의 모습, 서양미술사에 나타난 아폴론의 모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가우수자료★★][서양미술] 서양미술사에 나타난 아폴론(Apollo)의 모습 -아폴론의 모습, 아폴론의 사랑, 예술의 신 아폴론의 모습, 서양미술사에 나타난 아폴론의 모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양미술사에 나타난 아폴론의 모습


1. 서론
 1.1. 태양의 신, 아폴론
 1.2. 미술 작품 속의 아폴론
2. 아폴론의 사랑
 2.1. 아폴론과 다프네
 2.2. 아폴론과 히야킨토스
 2.3. 아폴론과 레우코토에, 아폴론과 클리티에

3. 예술의 신, 아폴론
 3.1. 파르나수스의 아폴론과 뮤즈들
 3.2. 아폴론과 마르시아스

4. 아폴론의 초월자적 면모
 4.1. 파이톤(피톤)
 4.2. 니오베
 4.3. 예언자
 4.4. 태양신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폴론을 찾아가 태양 마차를 몰게 해달라고 졸랐다. 아폴론은 반대를 했지만, 계속된 간청에 못 이겨 결국 파에톤은 태양 마차를 몰게 되었다. 그러나 파에톤은 태양 마차를 제대로 몰지 못해 땅으로 너무 가까이 다가가 지상세계에 불을 내기도 하고, 너무 높이 올라가 하늘의 별들을 불태우기도 했다. 이에 제우스는 번개를 내려쳐 태양 마차를 모는 파에톤을 떨어뜨렸다.
#22. Peter Paul Rubens, , 1605, Oil on canvas, Patrons' Permanent Fund
5. 결론
앞에서 세 가지 주제로 분류된 다양한 도판에서 볼 수 있듯이, 고대 그리스의 ‘벨베데레의 아폴론’상에서 19세기 낭만주의 작가 들라크루아에 이르기까지, 기독교가 미술까지 지배했던 중세시기를 제외한, 모든 시기의 서양미술 작품에서 아폴론이 등장한다. 또한, 어떤 특정한 신화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아폴론에 관련된 신화가 다양한 모습으로 폭 넓게 그려져 왔다. 그렇다면,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아폴론이 다양한 주제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고, 많은 작가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제우스의 사랑의 장면은 정말 많은 작품 속에서 등장한다. 그러나 제우스의 사랑은 대부분 일방적이고 강제적인 사랑이다. 하지만 아폴론은 인간적으로 사랑한다. 신이 아닌, 인간을 사랑해서 자식을 낳기도 하고, 또 사랑의 과정에서 오해와 실수가 있기도 하다. 또한, 다른 신들은 대부분 인간을 일방적으로 심판한다. 그런데 아폴론은 일방적인 심판이 아니라, 예언으로서 인간과 소통한다. 또한 심판 이후에는 자신의 잔인함을 후회하고, 슬퍼하기도 한다. 이렇게 아폴론은 인간과 많이 닮아있고, 가까이 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동시에, 아폴론은 풍요와 술의 신으로서 인간들에게 아주 가까이서 숭배 받는 디오니소스와는 다르게, 범접할 수 없는 위대한 신이다. 앞에서 보았듯이, 오만방자한 인간들을 가차 없이 심판하기도 하고, 다른 동료 신들에게 예언하기도 하며, 무엇보다도 태양을 관리하는 절대적인 신적 존재이다.
이처럼 아폴론은 가장 인간적이면서도 동시에 가장 신적인,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 신이다. 인간이면서 동시에 신이기도 했던 ‘예수’라는, 다른 종교에서 볼 수 없는 특별한 존재가 현재의 기독교가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교로 발전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아폴론의 ‘이중성’이, 작가들을 매료시키며 오랜 기간 동안 작품 속에 등장할 수 있었던 하나의 매력이 아니었을까?
뿐만 아니라, 아폴론이 작가들에게 사랑받을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 그것은 바로 아폴론이 ‘아름다움의 신’이라는 것이다.
노동과 주술의 목적으로 탄생한 예술은, 현대에 이르기 까지, 종교를 위해, 작가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또는 단순한 미적관조를 위해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창조되어왔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목적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된 작품들은 ‘아름다움’이라는 근본적인 개념을 담고 그것을 추구한다. 다시 말하자면, ‘아름다움의 신’인 아폴론은, 근본적으로 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과는 땔래야 땔 수 없는 아주 밀접한 관계라는 것이다. 미와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가 작가들에게 사랑 받고, 많은 작품에 등장한 것도 마찬가지의 이유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인간적이면서도 절대적 아름다움의 신 아폴론. 이러한 다양한 아폴론의 모습에, 작가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경외의 마음과 사랑을 담아 이렇게 칭송했던 것은 아닐까.
오, 포이보스, 당신의 진리의 권좌로부터,
세상의 중심에 있는 당신의 신전에서
인간에게 선포하시나니.
제우스의 섭리에 의해 그곳에는 어떠한 허위도 있을 수 없으며,
진실을 덮을 그 어떤 의혹의 그림자도 발붙일 수 없나니.
영원한 정의로 제우스가 아폴론의 신의를 확고히 했나니
아폴론이 내려주는 말은 모두 확고한
신념으로 믿어도 좋을지니.
#23. Eugene Delacroix, , 1850-51, Oil on mounted canvas, Musee du Louvre, Paris
#24. Pieter Pauwel Rubens, , 1630, Oil on canvas, Museo del Prado, Madrid
#25. Giovanni Battista, Tiepolo, , 1744-45, Oil on canvas, Musee du Louvre, Paris
#26. Nicolas Poussin, , 1630, Oil on canvas, Museo del Prado, Madrid
[참고문헌]
루치아 임펠루소/ 이종인 역, 『그리스로마신화 명화를 만나다』. 예경, 2006
마르크 퓌마롤리프랑수아 르브레트/ 정재곤 역, 『100편의 명화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마로니에북스, 2006.
마커스 로드윅/ 유영석김수정 역, 노성두 감수, 『신화와 미술 성서와 미술』, 아트나우, 2003.
사라 카 곰/ 신윤경 역, 『세계명화비밀2 신화상징』, 생각의 나무, 2007.
에디스 해밀턴/ 서미석 역, 『에디스 해밀턴의 그리스 로마 신화』, 현대지성사, 1999.
이윤기,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웅진닷컴, 2000.
이주헌, 『신화, 그림으로 읽기』, 학고재, 2000.
장영란, 『장영란의 그리스 신화』, 살림,
제임스 볼드윈/ 김시경 역, 『오래된 그리스 신화』, 느낌이있는책, 2007
토마스 불핀치/ 최혁순 역, 『그리스 로마 신화』 범우사, 2004
토머스 H. 카펜터/ 김숙 역, 『고대 그리스의 미술과 신화』, 시공사, 1998,
[참고 web site]
-WEB GALLERY of ART: http://www.wga.hu/index.html
http://www.cineclubdecaen.com/peinture/peintres/raphael/parnasse.htm
www.mlahanas.de/Greeks/Mythology/Apollo.html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5.22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9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