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활유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 윤활유의 개념 및 중국시장 선정배경과 전반적인 개요
본론
1. 중국시장의 외부환경 분석
⑴ 정치적 및 법적여건
⑵ 사회문화적 여건
⑶ 경제적환경
2. 내부환경 분석
⑴ 윤활유 산업의 특성
⑵ 윤활유 산업의 분류(자동차용 윤활유)
⑶ 윤활유의 제조 기업현황
3. SWOT 분석
4. STP
5. Marketing-Mix (4P 전략)
⑴ 제품전략
⑵ 가격전략
⑶ 중국시장의 유통전략
⑷ 중국시장의 촉진전략
결론

본문내용

통전략
중국내 유통업의 경영형태는 소유제에 따라 國有경영, 集體경영, 私營경영, 個體경영, 聯營경영, 주식제경영, 외국기업 투자경영 등으로 구분 가능하며 1996년 유통업체수는 1,400만개 정도, 이중 개체경영 92%, 집체경영 4.8%, 국유경영 1.8%를 차지하며. 개체경영은 상승세, 집체경영 및 국유경영 기업은 감소세에 있다. 과거 중국의 일반적인 유통경로는 ① 생산기업->② 1급 도매점(중앙정부 관할) ->③ 2급 도매점 (성, 시 관할) -> ④ 3급 도매점( 지구, 현급시 관할) -> ⑤ 소매점의 다단계 구조로 이루어 짐.그러나 1994년 批發市場管理辦法(도매시장관리지침)공포로 1급·2급·3급으로 구분되던 도매시장을 국내무역부가 인가·관리하는 전국 단위의 상품도매시장과 지방정부가 인가·관리하는 지방도매시장의 2가지로 구분, 운영하고 있다. 현재 대도시에는 자체 설립한 도매기업이 있고, 백화점도 도매 업무에 종사 가능하고, 소매 기업은 백화점, 체인점, 창고형 할인매장, 전문매장, 기타 일반 상점 등으로 분류, 외국투자기업의 진출로 대형 할인매장, 양판점, 대형 수퍼마켓 등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한국제품의 중국 유통경로 설문조사 결과
유형
응답자
비중
수입상→소비자
10
17.2
수입상→도매상→소매상(백화점, 창고형 판매)→소비자
9
15.5
수입상→제조업체
18
31.0
수입상→대리상→도매상→소매상→소비자
4
6.9
수입상→대리상→소비자
8
13.8
국제 입찰 참여
1
1.7
기타
4
6.9
무응답
4
6.9

58
100.0
자료 : KOTRA 현지 설문조사
석유 화학 제품의 유통 구조
유통구조
- 수입상 -> 제조업체
- 수입상 -> 대리상 -> 소비자
일반적으로 최종 소비자가 선금(결제액의 20∼80%)를 수입상에게 선납하고 수입대행을 의뢰하며 제품 인도시 수표 및 환어음으로 결재
PVC의 경우 제조업체가 중국에 에이젼트를 두고 에이젼트가 수입 대행회사를 통해 수입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
- 결재 방식은 T/T를 통한 외상 방식을 채택하며 이 경우 위험도를 수출자가 부담하나 제품 인지도가 낮을 경우 흔히 채택
- 건축용일 경우에는 건설 시공업체와의 관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⑷ 중국시장의 촉진 전략
중국 광고업계는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매년 평균성장률 48%를 기록하던 고성장 시대를 마감하고 95년이후 연평균 35%대의 안정된 궤도로 진입
광고회사 및 종사인원
- 1998년 광고회사 61,000여개, 전년대비 증가율 8.3%
- 1998년 광고업 종사자 580,000여명, 전년대비 증가율 6.1%
국유나 집체기업의 비중은 계속 줄어들고 있는 반면, 개인 회사의 비중은 크게 증가
한국 제품에 대한 광고비는 한국 업체가 주로 많이 부담하고 그 다음이 수입상과 공동 부담하는 것으로 조사
한국 제품의 광고비 부담자
구분
한국업체
수입상 공동부담
수입상
도매상
소매상
무응답
기타

응답자
38
23
16
5
4
30
2
118
비중
32.2
19.5
13.6
4.2
3.4
25.4
1.7
100.0
자료 : KOTRA 현지 설문조사
광고 매체로는 신문과 잡지, TV를 주로 활용하며 옥외 광고와 버스 등에 대한 이동 광고 비율은 낮은 편이다.
한국 제품의 광고 매체 비중
구분
신문
잡지
TV
DM
옥외광고
이동광고
무응답
기타

응답자
38
30
29
14
3
1
31
16
162
비중
23.5
18.5
17.9
8.6
1.9
0.6
19.1
9.9
100.0
자료 : KOTRA 현지 설문조사
향후 광고비 투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지 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65.6%로 중국 시장에서의 광고의 중요성을 강조
향후 한국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광고 필요성
구분
필요
불필요
무응답

응답자
42
7
15
64
비중
65.6
10.9
23.4
100.0
자료 : KOTRA 현지 설문조사
결론
개혁개방이후 15년동안 중국의 석유화학공업은 빠른 속도록 발전을 거듭해 왔고 건전한 시장을 형성해왔습니다. 현재 중국의 석유정제능력은 연간 1얼6000만톤으로 세계4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등유경유윤활유 등의 연간 생산량은 6769만톤에 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석유화학공업의 중심을 이룬 중국석유화학총공사(SINOPEC)는 원유 가공량과 석유제품의 생산량에 있어 중국석유업계의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국민경제발전에 따라 10~20년 동안 중국 석유화학은 큰 발전을 거듭해 왔고 중국은 2차 5개년계획실시를 통해 석유화학공업을 국민경제의 주력산업으로 선정했습니다. 그 후 2010년에는 세계 선진국 수준에 진입한다는 계획에 있습니다. 2000년 중국의 원유가공능력은 연간 2억~2억3000만톤이고 2010년에는 3억~3억5000만톤에 달할 전망이다.
중국의 석유화학제품시장은 수년간의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계획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이행되면서 아직은 안정되지 못한 것으로 평가 되고 있으며 동시에 개혁개방정책에 따라 중국의 석유화학 시장은 국제시장과 연결되고 있는데, 국제적인 석유화학기업과 협력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은 중국 석유화학제품의 공급부족을 완하시키고 국제시장 참여를 유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과제를 수행하면서 윤활유 중국시장의 마케팅 전략을 구상함에 있어서 어떻게 접근을 해야 할 것이며 그에 따른 전반적인 개요와 자료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아직 전체적인 접근의 마케팅 지식이 부족하여 내용이 다소 부적절하게 연관돼 있는 점에 대해서 양해를 구하는 바입니다. 하지만 조원들이 여러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에서 저희가 계획한 마케팅 전략에 맞는 자료를 간추려 내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으며 조원들 역시 성실히 이번 과제를 수행하였음을 끝으로 알려 드리며 이번 과제를 여기서 마무리 지을까 합니다.
【자료 출저】
마케팅 원론 (형설출판사)
인터넷 검색(21세기 급변하는 중국 시장)
http://home.mokwon.ac.kr/~kycha77/study/china/chinatrade1.htm....
KOTRA 홈피
인테넷 경제신문들 참조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4.1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