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철도 컨테이너 수송실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해외 주요국의 최근 철도동향 및 국제화물 컨테이너 수송상황
1. 해외 주요국의 최근 철도동향
2. 국제화물 컨테이너 수송상황

Ⅲ. 국내 철도 컨테이너 수송실태
1. 철도 컨테이너 수송능력
2. 철도 수송비용
3. 유통정보시스템

Ⅳ. 철도 컨테이너 수송실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철도 컨테이너 수송실태의 문제점
2. 철도 수송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하차 작업선이 부족하여 1개 열차단위로도 하역작업을 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15~20량 유치규모의 작업선을 적어도 30량 규모로 확장해야 한다. 기존의 작업선은 여러 가지 입지조건으로 불가능하므로 컨테이너 야드를 통한 새로운 작업선을 부설하는 방안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작업선 입출건넘선이 1개선으로 화차의 차입반출이 지연되고 있으므로 側線에서 분기하여 다른 입출건넘선을 부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감독자의 통제수단만으로는 컨테이너 유통지연을 해결할 수 없으므로 발착지 및 도착지상황, 화차 조성순위, 하역작업 등을 하나의 시스템으로하여 전산화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화차의 구조에서 주행장치와 제동장치를 고속형으로 개량하는 경우에는 50%이상의 속도향상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차고속화는 선로용량도 증가시키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4) 수송비용시스템의 개선
철도의 화물수송 특성상 본선 운임거리가 늘어나도 수송원가가 크게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현재 거리비례제에 몇가지 할인제를 적용하고 있는 철도수송은 오히려 장거리 수송비용을 감액시켜주는 거리체감제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고객의 경우 마일리지(Mileage)제를 적용하기 위해 철도수송물량의 증가추세에 따라 개별운송업체에게 할인혜택방법도 검토되어야 하며 이 방법이 채택되면 수송영업의 활성화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5) 유통정보시스템의 보완
컨테이너에 의한 수송은 철도수송에 대한 정책상 전략부문으로 간주되므로 컨테이너화물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은 시급한 문제이다. 현재 KROIS가 가동중이지만 정보의 생산공급과 물류정보의 신속한 입수를 위한 정보시스템의 개발이 실용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앞으로 이것은 1~2년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KL-Net 등을 통하여 지역별 컨테이너 전산정보시스템이라도 우선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수송수요의 조기파악이 가능하고 회차의 적기배정이 가능해지며 컨테이너 하치장별 적재량이 쉽게 파악될 수 있다.
Ⅴ. 결론
물류와 관련하여 철도화물수송 시스템은 개선의 문제점이 많다. 특히 컨테이너 수송에 있어 현재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에 대한 문제 뿐아니라 앞으로 확장되는 수요에 대한 전략이 분명하지 않은 것에 더욱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철도 화물수송시스템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송능력이 부족하다. 화차의 보유량은 현보유량보다 400량정도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컨테이너 야드도 1998년에는 137천평정도가 부족하게 된다.
둘째, 수송시간과 수송비용에 대한 문제이다. 컨테이너 야드의 부족으로 많은 시간이 낭비되고 있으며 비용측면에서도 자동차 협정운임보다 다소 낮은 편이나 실제 거래비용에서는 불리하다.
셋째, 유통정보전산망이 빈약하다. KROIS가 가동되고 있지만 고객에 대한 정보와 철도의 수송정보가 상호 교환되지 못하고 운송중인 컨테이너에 대한 이동정보도 제공할 수 없어 업무처리에 많은 지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송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선로용량과 화차의 증강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컨테이너 야드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수송시간의 단축과 수송비용의 탄력화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수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요소에는 하역작업선의 개량, 작업선 입충건넘선 증설, 컨테이너화차 조성작업의 전산화 및 열차속도향상 등을 들 수 있다. 수송비용 측면에서는 현재 거리비례제의 경직적인 운용보다는 거리체감제와 철도운송증가량에 비례한 운송업체별 할인제도의 적용이 적극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유통정보시스템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컨테이너에 의한 수송은 철도수송에 대한 정책상 전략부문으로 간주되므로 컨테이너화물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은 시급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KL-Net 등을 통하여 지역별 컨테이너 전산정보시스템이 우선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로교통의 복잡화로 인하여 물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철도에 의한 화물운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량성안정성정기성이라는 상대적 우위성을 지닌 철도를 이용한 화물운송은 물류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위에서 제시한 몇가지 문제점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철도물류시스템에 국한하였으나 앞으로 철도물류시스템 뿐만 아니라 항공, 선박, 자동차 등에 의한 물류시스템의 연구에 기여할 것이며 ‘마지막 원가절감의 영역’으로서 물류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기업이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원가경쟁력을 키워야 하며 이는 기업의 물류정보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999년 철도수송계획, 철도청, 1999
교통물류 제 1~4호, 한진교통물류연구원, 1996.
박찬익, 세계절도의 효율성 평가지표로 분석한 한국철도의 현황, 한진교통물류연구원, 1996.
부산컨테이너 부두운영공단, 업무자료, 1999.
이정구, 철도의 컨테이너 수송체계개선방안, 한진교통물류연구원, 1996.
최훈, 철도산업의 융성, 쇠퇴 및 도로에 관한 고찰, 한진교통물류연구원, 1996.
한국컨테이너 부두공단, 컨테이너 유통실태분석 보고서, 1996. 3.
한진교통물류연구원, 교통물류동향 제 7호~16호. 2000
해운산업연구원, 2001
Ballou R., Business Logistics Management, 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985.
Chatterjee, S.K, Microcomputer Based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Review, 1984.
Daugherty, P.J., Outsourcing Logistical Services : Firm-Specific Usage Patterns, Unpublished Dissertation, East Lansing, MT : Michigan State University, 1988.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10.2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