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레포트]마리나산업의 동향 및 개발 사례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레포트]마리나산업의 동향 및 개발 사례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연구개요

Ⅱ. 마리나에 대한 이해
1. 마리나의 개념
2. 마리나의 유형
3. 마리나산업의 동향

Ⅲ. 마리나 개발 유형별 사례분석
1. 요트클럽형 마리나
2. 수리ㆍ제조형 마리나(호주, Gold Coast City Marina)
3. 쇼핑복합형 마리나(호주, Birkenhead Point Marina)
4. 관광지형 마리나(호주, Sanctuary Cove Marina)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들의 진출에 대응하여 국내 해양레저ㆍ스포츠 산업을 육성시키기 위한 대응책의 모색이 요구된다.
Ⅲ. 마리나 개발 유형별 사례 분석
1. 요트클럽형 마리나
1) One°15 Marina Club
One°15 Marina Club은 싱가포르의 센토사 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9년 Asia Boating Awards에서 아시아 최고의 마리나/올해의 요트클럽으로 선정되었다. 현재 가입한 회원의 수는 약 4,000명에 이르고 있고, 개장 이후 3년 만에 투자비용을 회수하고 흑자로 진입하였다. 이곳은 2005년 착공하고 2007년 개장하여 현재 270여 척 규모의 수상계류시설, 육상보관시설, 회원라운지, 숙박시설, 휘트니스 클럽, 레스토랑 등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ne°15 럭셔리 요팅’이라는 요트 차터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수면 위의 호텔 개념인 하우스보트 3척을 임대한다. 해양생태계 보존을 위해 페르나(Perna) 프로젝트를 운영하여 기술적으로 오염을 통제하고 지속적인 환경관리 시스템을 운영/강화하고 있다.
<그림 2> One°15 Marina Club 전경
2) Republic of Singapore Yacht Club
Republic of Singapore Yacht Club(RSYC)은 싱가포르 West Coast Park에 위치하고 있으며, 1826년에 설립되어 185년간 운영되어 온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마리나이다.
요트클럽의 회원은 4가지로 분류하여 가입하며, 숙박, 레스토랑, 바, 계류장, 급유시설, 보트 판매 및 중개 등의 다양한 시설이 있다. 수상계류는 슈퍼요트 7척을 포함하여 127척이 계류 가능하며, 현재 약 300척을 보관할 수 있는 육상보관장(dry stack)과 신규 숙박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사업 완료 예정시점은 2011년 11월이며 총 투자비용은 약 9억달러이다.
<그림 3> Republic of Singapore Yacht Club(RSYC) 전경
2. 수리ㆍ제조형 마리나(호주, Gold Coast City Marina)
호주 해양레저산업단지를 대표하는 골드코스트 시티 마리나(이하 GCCM)는 호주의 해양레저보트 제조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슈퍼요트개발/전문 수리를 위하여 조성된 공공형 워킹마리나(Working Marina)이다.
GCCM의 특징은 대단위 레저보트 제조/수리 공장과 더불어 소규모 레저보트 수리공장을 함께 조성하여 대기업에서 중소기업까지 다양한 업체들이 레저보트를 개발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는 점이다. 레저보트 제조에 필요한 각종 부품단지(엔진, 의장품, 전자기기, 항해장치)와 더불어 레저용품 판매상점, 레저보트 제조/수리인력 양성학교를 함께 입주시켜 하나의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GCCM의 주된 역할은 산업단지의 관리와 더불어 안내 잡지의 발간, 보트쇼 개최를 통한 호주 해양레저산업의 홍보와 더불어 GCCM에 입주한 업체와 마리나시설의 홍보이다. GCCM의 운영수익은 산업단지의 부지임대수익, 마리나 계류수익(해상, 육상), 크레인 운반비용으로 구성되며 마리나 운영시설의 관리 이외에 레저보트의 제조나 수리업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다. 한편, GCCM의 개발에 투입된 도로, 전력, 상/하수도, 마리나 기반시설 등 공공투자(퀸즈랜드 주정부, 골드코스트시) 비용의 회수는 지방세를 통하여 환수하고 있다.
<그림 4> Gold coast city Marina 전경
3. 쇼핑복합형 마리나(호주, Birkenhead Point Marina)
호주 버켄헤드 포인트 마리나(Birkenhead Point Marina)는 시드니 서부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드니 시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도심형 민간 마리나이다. 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버켄헤드 포인트 마리나는 시드니 최대 프리미엄 아웃렛센터와 연계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즉, 마리나시설과 상업시설을 도심 공간 속에 함께 조성하여 방문객의 이용편의를 도모하면서 각종 편의시설의 중복개발을 방지하였다.
<그림 5> Birkenhead Point Marina 전경
4. 관광지형 마리나(호주, Sanctuary Cove Marina)
호주 생추어리 코브 마리나(Sanctuary Cove Marina, 이하 SC마리나)는 호주 최대 해양휴양지인 골드코스트 북단의 쿠메라 강변에 위치한다. 이곳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생추어리 코브 보트쇼’가 개최되며, 호주 각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방문하고 있다. 인근 쿠메라 강변으로는 주택과 연계된 개인 마리나인 주거형 마리나(residential marina)가 발달해 있으며, 이곳은 주거지나 별장과 연계한 계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마리나로 운영된다. 그리고 육상에는 쇼핑시설과 레스토랑이 밀집된 ‘airne Village’가 조성되어 있다.
<그림 6> Sanctuary Cove Marina 전경
[참고문헌]
<국내문헌>
국토해양부, 제1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2010.
국토해양부, 해양관광 통계기반 구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용역, 2010.
김남형 이한석, 해양성 레크리에이션 시설, 과학기술, 1999.
김동주 외, 전남 해양레포츠 육성을 위한 레저보트산업의 세계적 동향, 전남발전연구원, 2009.
김성귀 홍장원, 다기능 어항에서의 마리나 조성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부산발전연구원, 부산지역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방안, 2007.
이승우 외, 해양레저보트 산업 발전전략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9.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백서, 2005.
홍장원, ‘우리나라 레저보트산업 성장의 전제조건’, 해양국토 21. 2009.
<외국문헌>
British Marine Federation, ‘Economic benefits of UK Leisure Boating Industry’, 2010.
ICOMIA, Boating Industry Statistics 2006, 2009, 2011 Marina conference proceeding.
National Marine Manufacturers Association, “2010 Recreational Boating Statistical Abstract”.
  • 가격3,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4.01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